Loading [MathJax]/jax/output/HTML-CSS/config.js

개인 사이트 구축 - 도메인 구입 후 자체 서버 연결

시스템 2025. 3. 23. 19:52

집에서 노트북을 웹 서버로 구축한 후, 도메인을 구입한 후 사이트를 배포해 본다.

 

1. 노트북에 웹 서버 구축

노트북에는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

웹 서버로 아파치 서버로 설치

 

2. 도메인 구입

hosting.kr 사에서 도메인을 구입

 

3. 도메인 레코드 설정

도메인 레코드를 통해 사람들이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입력한 도메인과 내가 구축한 웹 서버와 연결을 한다.

연결을 하기 위해서 A 레코드를 사용하여 연동을 했다.

A 레코드를 사용하는 경우, 도메인을 IP 주소와 매핑하므로, IP 주소가 변경된다면 변경된 IP 주소를 업데이트해야 한다.

 

 

 

추가 - DNS 설정

A 레코드를 업데이트를 한 후, 해당 도메인의 레코드 정보가 DNS에 업데이트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https://www.nslookup.io/

 

DNS Lookup

Find all DNS records for a domain name with this online tool. Nslookup shows A, AAAA, CNAME, TXT, MX, SPF, NS, SOA and more.

www.nslookup.io

해당 사이트를 사용하여 도메인의 레코드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해외의 DNS에는 빠르면 10분 안쪽으로 업데이트가 되지만 도메인에 따라서는 한국 DNS에서는 업데이트 주기가 길어서 하루정도가 지나야 정상적으로 반영되는 경우가 있다.

 

https://itadventure.tistory.com/104

 

도메인 IP주소 변경시 통신3사 DNS반영 확인방법

인터넷에는 수많은 도메인들이 있지요. 예를 들면 www.naver.com 같은 URL주소를 도메인이라고 합니다. ​ 그리고 전 세계에 수많은 서버 컴퓨터는 사실 인터넷 선을 통하여 IP 주소라는 걸 가지고 있

itadventure.tistory.com

위 사이트 글을 보면 업데이트 주기가 긴 경우가 있어서, 이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나 공유기의 DNS를 구글의 DNS로 변경해 보면 그나마 빠르게 확인해 볼 수 있다.

 

 

추가 - 아이피타임 공유기 DDNS

아이피타임 공유기에는 *.iptime.org의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여 DDNS를 이용할 수 있다.

DDNS에서 할당된 도메인 주소은 포워딩을 통해 구매한 도메인과 웹 서버와 연동이 가능하다.

 

 

 

dns 관리 기능 중, 포워딩을 사용하면 iptime의 ddns로 설정한 주소로 이동할 수 있다.

 

이는 고정 아이피로 설정하지 않고 공유기의 ddns 주소를 이용하므로 공유기의 아이피 주소가 바뀌더라도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다.

또한 dns 제공 업체로 한국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, 변경된 정보가 바로 반영되지 않고 그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기에, 구글의 dns에 연결하여 테스트를 해야 한다.